목차
✅ 세 줄 요약
- 콜드플레이는 내한 공연에서 플라스틱 응원봉 대신 재사용 가능한 친환경 LED 팔찌를 도입해 지속가능한 공연 문화를 실현하고 있다.
- 이들은 탄소배출을 줄이고 플라스틱 쓰레기 반입을 금지하는 등 공연 전반에서 환경보호를 실천 중이다.
- 아이돌 문화 중심의 굿즈 소비에 대한 비판과 함께, 콜드플레이의 행보가 공연 산업 전반에 친환경적 변화의 신호탄이 되고 있다.
🌍 “응원봉 안 사도 된다!” 콜드플레이가 만든 진짜 팬 문화의 혁신
– 친환경 콘서트의 새로운 기준
🎤 공연장은 ‘응원봉’ 없는 바다… 그런데도 빛난다
형형색색의 불빛으로 물든 공연장, 그 중심에는 응원봉 대신 ‘자이로밴드(Gyroband)’가 있다. 영국의 월드스타 밴드 콜드플레이는 8년 만의 내한 공연에서 기존 콘서트 문화의 관행을 깼다. 바로 ‘응원봉 없는 공연’을 선언한 것이다.
플라스틱 응원봉은 일반적으로 한 번 사용되고 버려지는 경우가 많아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돼 왔다. 하지만 콜드플레이는 이를 과감히 생략하고, 재사용 가능한 친환경 LED 팔찌를 관객 전원에게 무료로 제공해 공연장을 화려하게 물들였다.
🌱 자이로밴드? 예쁜 쓰레기가 아닌 지속가능한 빛
자이로밴드는 친환경 소재로 제작돼 100% 생분해가 가능하며, 내장된 센서를 통해 무대의 조절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반짝인다. 공연이 끝난 뒤에는 수거되어 다음 공연에 재사용된다. 콜드플레이는 국가별 회수율을 공개하며 ‘착한 경쟁’을 유도했고, 일본이 97% 반납률로 1위를 기록 중이다. 이에 한국 팬들 사이에서도 “100% 달성하자”는 자체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다.
❌ 플라스틱 NO! 생수병도 안 돼요
콜드플레이는 이번 투어에서 콘서트장 내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도 전면 금지했다. 관객들은 개인 텀블러를 사용하는 등 친환경 방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심지어 관객이 춤을 추며 발생시키는 운동 에너지로 일부 전력을 생산하는 독특한 방식도 도입했다.
이들은 이번 월드투어에서 전체 탄소배출량을 지난 투어 대비 50% 이상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으며, 실제로 각 공연장에서의 전력은 태양광, 풍력 등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고 있다.
💔 예쁜 쓰레기 양산하는 아이돌 콘서트 문화
한편 국내 K-POP 팬덤에서는 콘서트 참여 시 응원봉은 사실상 ‘필수템’으로 여겨진다. 가격도 평균 5만 원 내외이며, 품절 시엔 10만~20만 원까지 치솟는다. 시즌마다 새로운 디자인이 출시돼 짧은 주기의 소비를 유도하고, 복합 플라스틱 구조로 재활용도 어렵다.
이로 인해 굿즈 중심의 소비 문화는 환경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으며,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는 소비로 비판받고 있다.
🌟 콜드플레이가 보여준 공연 문화의 미래
이번 콜드플레이 내한 공연은 단순한 음악 이벤트를 넘어, 전 세계 팬들과 함께 ‘지속가능한 문화’를 만들어가는 시도였다. 보컬 크리스 마틴은 “이것은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라며 “이런 공연 모델이 업계 표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환경을 생각한 그들의 행보는 단지 ‘멋진 공연’을 넘어서, 공연 산업 전반에 큰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이제는 팬덤도, 기획사도 지속가능한 방향으로의 전환을 고민해야 할 때다.
'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허그 사진으로 확산된 태민과 노제 열애설…소속사 반응은? (0) | 2025.04.17 |
---|---|
KBO 진기록 달성! LG 트윈스 노히트 노런 경기 분석과 하이라이트 (0) | 2025.04.15 |
BTS 제이홉 북미 투어 성공 마무리… 외신도 극찬한 솔로 공연 (0) | 2025.04.08 |
스트레이 키즈, 글로벌 위상 재입증…상파울루를 흔들다 (2) | 2025.04.08 |
히로스에 료코 체포…청순 이미지의 몰락과 일본 대중의 실망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