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세 줄 요약
-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에 대비해 발령되었던 전국 경찰 비상근무 체제가 해제되었습니다.
- 서울은 ‘을호비상’에서 ‘경계강화’로 완화되며, 타 지역은 모두 정상 체제로 전환되었습니다.
- 다행히 큰 충돌이나 인명피해 없이 상황이 마무리되었으며, 향후 치안 상황을 고려해 추가 조정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
서울 경찰 ‘을호비상’ 해제…전국 비상체제 종료, 치안 태세는 ‘경계강화’로 완화
📌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이후 경찰 비상근무 단계 조정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 이후, 경찰청은 4월 5일 오후 6시 40분부로 서울경찰청에 발령됐던 ‘을호비상’을 해제하고, ‘경계강화’ 단계로 완화했다고 밝혔습니다.
경계강화는 비상근무 4단계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연차휴가는 재개되지만, 경찰관들은 여전히 비상연락 체계를 유지하며 긴급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대기해야 합니다.
🛡 갑호비상부터 경계강화까지…탄핵심판 대응 일지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을 앞둔 지난 4월 3일부터, 경찰은 전국에 가장 높은 단계인 ‘갑호비상’을 발령하며 전면적인 대응 태세에 돌입했습니다.
갑호비상은 경찰력 100% 동원을 의미하는 조치로, 전국 기동대 338개 부대 중 210개 부대(약 1만4천명)가 서울에 집중 배치되었습니다. 이는 지난 1월 윤 전 대통령이 구속된 직후 벌어진 서울서부지법 폭동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선제 조치이기도 했습니다.
탄핵심판 선고 당일에는 전국적으로 갑호비상이 발령됐으며, 다음 날 이를 해제하고 서울만 을호비상 체제를 유지했습니다. 이후 4월 5일 오후부터 서울도 ‘경계강화’로 완화되며, 전국 비상근무 체제는 공식적으로 종료됐습니다.
👥 우려 속 질서 유지…인명피해 없이 마무리
헌법재판소 인근에는 안전 펜스가 설치되고 경찰력이 대거 배치되는 등 긴장감이 고조되었지만, 극우 지지자들의 집회 외에는 큰 충돌 없이 상황이 마무리되었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있었던 인명피해를 교훈 삼아 이번에도 강력한 대응이 이뤄졌으나, 다행히 별다른 사고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 향후 전망…“상황 따라 유동적 대응”
경찰은 앞으로도 치안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필요 시 대응 수준을 조정할 계획입니다. 현재의 ‘경계강화’ 조치도 서울청장이 상황을 판단해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운영됩니다.
경찰청은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단계적 대응을 펼쳤다”며, “향후에도 질서 유지와 사회 안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항 쓰레기통에서 군용 실탄? 인천공항 보안 실태 논란 (0) | 2025.04.06 |
---|---|
개헌 국민투표 현실화? 4년 중임제·책임총리제로 권력구조 개편 논의 가속 (0) | 2025.04.06 |
“북한 선거 닮았다?” 허은아의 일침과 2025 조기 대선 정국 총정리 (0) | 2025.04.06 |
민심 향방은? 38% 유보층에 달린 조기 대선 판도 (0) | 2025.04.06 |
외신 독자들 ‘한국이 부럽다’… 윤 전 대통령 탄핵 후 세계 반응 (1)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