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세 줄 요약
-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4,500명 철수 방안을 비공식적으로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 국방부와 외교부는 "한미 간 논의된 바 없다"며 부인, 국내 정치·외교에 큰 파장 우려가 제기됩니다.
- 이번 검토는 중국 견제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되며, 향후 방위비 분담금 협상 카드로도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주한미군 4,500명 철수 검토”…트럼프 2기, 한미동맹 흔드나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28,500명 중 약 16%인 4,500명 규모를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외 안보 및 외교 분야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 어디서 나왔나?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이 내부 정책 검토 과정에서 주한미군 일부 병력을 괌 등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이전하는 안을 논의했다고 전했습니다.
-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 공식 보고되지 않은 단계
- 고위 당국자들의 비공식 구상 수준
🎯 왜 지금, 왜 주한미군?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을 최대 위협으로 간주하며
대중(對中) 전략의 일환으로 군사력을 재배치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 타이완 침공 억제에 더 유리한 지역으로 병력 이전
- 트럼프 1기부터 강조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과 연계 가능성
📌 트럼프 발언 (2025년 4월 9일):
“우리는 한국에 큰돈을 쓰지만 보상받지 못한다. 철수도 고려할 수 있다.”
🇰🇷 한국 정부 반응은?
한국 국방부와 외교부는 즉각 "한미 간 논의된 바 전혀 없다"며 관련 보도를 부인했습니다.
- 국방부: “주한미군은 한미동맹의 핵심전력이며, 감축은 동맹정신 위배”
- 외교부: “주한미군은 동맹의 상징이자 평화의 보루”
또한 양국 간 협의가 반드시 필요한 사안으로, SCM·MCM 등 공식 채널을 통해 결정될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국내외 파장과 우려
- 대선 앞둔 민감한 시기에 나온 감축 보도
-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가능성 부각
- 중국·러시아 견제 균형 붕괴 우려
- 국내 새 정부 출범 전부터 한미동맹 갈등 이슈화
📌 군 수뇌부 우려
- “주한미군 없으면 김정은 침공 가능성 높아진다”
- “동북아 안보 균형 깨질 수 있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버드 vs 트럼프 정면충돌…유학생 퇴출 사태의 전말과 법적 대응 (0) | 2025.05.23 |
---|---|
알바몬 해킹 사고 대응 조치 총정리: 보상안, 신청법, 향후 보안 강화 계획 (0) | 2025.05.20 |
지역 청년 맞춤형 학자금 지원 확대 위한 한국장학재단의 노력 (0) | 2025.05.20 |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진화에 수일 소요 예상 (1) | 2025.05.17 |
2025 대선 앞두고 윤석열 탈당, 보수 진영의 향후 전략은? (2) | 202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