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금저축 투자 전략: 매수만이 정답일까?
계속 매수만 하고 있어요
연금저축계좌로 미국 ETF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노후를 위해 만든 계좌인 만큼, 장기투자를 해야 한다는 생각에 계속 ETF를 사 모으고 있는데요. 계속 이렇게 해도 괜찮은 걸까요? 일반 주식 계좌로는 어느 정도 수익이 나면 매도하는데 연금저축계좌로는 지금처럼 매수만 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 “필요에 따라 매도하는 게 좋아요”
- 📌 계좌의 유형과 차익실현은 무관해요.
- 📌 연금저축계좌의 장점을 활용하세요.
- 📌 ETF 위주로 거래하세요.
어떤 계좌인지는 중요하지 않아요
연금저축계좌로 거래한다고 해서 매수만 해야 할 이유는 없어요. 언제 차익을 실현할 것인지는 계좌의 유형과 관계없이 판단해야 한다는 뜻이죠. 누군가는 노후까지 매수만 할 수도 있고, 또 다른 누군가는 중간에 차익을 실현했다가 다시 매수할 수도 있어요. 정답은 없죠. 둘 중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더 좋다고 생각하는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미리 차익을 실현하고 싶다면
만약 연금을 개시하기 전에 차익을 실현하기로 했다면, 대표적인 절세상품인 연금저축계좌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면 좋은데요. 연금저축계좌의 최대 장점은 매도할 때 세금을 내지 않는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100만 원에 사서 200만 원에 매도했다면? 일반 계좌로 투자했다면 차익의 15.4%를 배당소득세로 내야 해요. 약 15만 4천 원이 되겠죠. 이뿐만 아니라 다른 금융상품으로 돈을 벌었는데 이자와 배당을 합친 총수익이 1년 기준 2,000만 원을 초과하면 다른 소득과 합산해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해요.
하지만 연금저축 계좌로 투자하면 이 모든 걸 내지 않아요. 대신 나중에 계좌를 해지하거나 연금을 개시할 때 내죠. 연금저축계좌를 도중에 해지하면 총원리금의 16.5%, 연금으로 받으면 3.3~5.5%를 세금으로 내야 해요.
절세 효과를 최대로 누리고 싶다면? ETF 위주로 거래하세요
예를 들어 볼게요. 일반 계좌로 미국 ETF를 사서 100만 원을 벌었어요. 그리고 그 돈으로 다시 중국 ETF를 사서 또 한 번 100만 원을 벌었죠. 그러면 팔 때마다 15만 4천 원씩, 총 30만 8천 원을 세금으로 내야 해요. 팔 때마다 세금을 내야 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연금저축 계좌로 투자하면 중간에 세금을 내지 않아요. 그러니 매도할 때마다 세금이 붙는 ETF 위주로 투자한다면, 연금저축계좌로 하는 게 유리해요. 만약 자주 사고파는 투자자라면 더 큰 절세효과를 얻을 수 있죠.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삼성전자 캐리어 에어컨 무료 사전점검기간 (0) | 2025.03.27 |
---|---|
기후행동 기회소득 가입자 수 100만 명 돌파 (0) | 2025.03.25 |
퇴직연금 추가 납입, 세액공제 받을 수 있을까? DC형과 IRP 비교 (0) | 2025.03.19 |
K-패스 다자녀 가구 유형 신설! 교통비 최대 50% 돌려받는 방법 (0) | 2025.03.19 |
코엑스 주차 요금 할인 방법 (0) | 2025.03.18 |